본문 바로가기
스크랩

과학자는 확률을 말할뿐, 확신에 차 미래를 말하는자는 경계하라

by 자유인 2024. 6. 7.
반응형




―왜 전공자도 아닌 일반인이 과학을 알아야 하나요.

“과학은 ‘방법’이에요. 객관적이고, 재현 가능한, 물질적 증거에만 기반해 결론을 내리는 태도를 말하죠. 그래서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건 ‘누가 말했는지’가 아니라 ‘증거가 무엇인지’예요. 아인슈타인이 말해도 증거가 없으면 소용 없어요.”



―그런 ‘과학자의 시선’에서 볼 때 현재 한국 사회는 어떠한가요.

“물질적 증거에 입각해 행동한다는 것은, 누가 무슨 말을 할 때 ‘어디서 들었어?’ ‘직접 본 거야?’ 의심을 해본다는 뜻이에요. 쉽게 공감하지 않고요. 이러니까 사람들이 과학자를 싫어하지. (웃음) 충분한 데이터나 증거가 있을 때까지 결론을 유보하는 거죠. 그런데 요즘은 ‘우리 편’이 하는 얘기는 믿고, ‘우리 편’이 아니면 안 믿잖아요.”



―강연에서 ‘미래는 예측 가능하지 않다’고 설파하는데….

“너무 강력하게 의견을 펴는 과학자들, 특히 미래에 대한 문제에 확신하는 사람은 사기꾼일 가능성이 높아요. AI의 미래? 아무도 몰라요.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순 없고, 무엇을 해야 하나요.

“하려는 말은 미래를 정확히 내다보는 게 어려우니 예측에 너무 많은 자원을 쏟지 말라는 거예요. 변하지 않는 것부터 먼저 챙기고, 어떤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게 더 중요해요



인생에서 숱한 결정을 기계가 해줄 수는 없겠죠. 일정한 기능이나 능력을 기계가 더 가져가는 건 맞아요. 하지만 그 기능만을 하는 존재가 인간은 아니예요




우리는 어릴 때 모두 과학자였어요.



그런데 선이라는 게 편의상 그어놓은 것이잖아요. 제가 선을 넘는 이유는 원래 선은 없다는 걸 보여주려는 거예요. 자꾸 왔다 갔다 하면 거기 길이 생겨요.”









https://v.daum.net/v/20240606231941827

“과학자는 확률을 말할 뿐… 확신에 차 미래 말하는 자 경계해야” [데스크가 만난 사람]

물리학자’, ‘작가’, ‘과학 커뮤니케이터’ 등으로 불리는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는 지난달 28일 서울 강남구 청담동 한 카페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선이라는 게 편의상 그어놓은

v.daum.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