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ICBM2

에이태큼스, 스톰섀도 VS 러시아 ICBM (그리고 현무5) ICBM·에이태큼스 주고받은 러·우…전쟁 격화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2168951 한경 2024.11.21 영국 일간 가디언은 러시아 ICBM의 사거리가 이론상 9900㎞로, 발사 장소인 아스트라한에서 미국 동부 해안까지 도달할 수 있다고 보도 ICBM은 재래식 탄두와 핵탄두 모두 장착할 수 있지만, 우크라이나 공군은 러시아가 발사한 ICBM에 핵탄두는 탑재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주지사는 이날 미사일 공격으로 지역 내 산업시설에 화재가 발생했으며 '두 명'이 다쳤다고 전했다. -> 그래도 푸틴이 참 신사답게(?)....인명피해는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대륙간탄도미사일인 ICBM로 위협만 준것 같은 느낌이다... 2024. 11. 24.
韓 달 탐사선, 8월 우주로…임무는 '착륙선 착지지점 정찰' 아래 기사를 잘 보자 이슈가 2개다. 1. 작년에 실패한 누리호 2차 발사 시도 : 6월 15일 2. 한국 최초 달 궤도선 발사: 8월 (KPLO: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누리호가 성공했을때, 관련 주가를 떠올려보자. 실패하지 않더라도, 기대감만으로 시간외 상한가를 갔었다. 하지만, 최종 실패로 다음날 하락으로 갔던게 기억난다. 결과가 어떻게 되었건 주가는 기대감만으로도 오를수 있음. 그 다음, 8월, 한국 달 궤도선 발사 이건 대한민국 최초 시도이고, 스페이스x의 발사체 팰컨9를 이용한다. 인공위성 관련주는 모두다 상승할수 있다는 얘기임. 스페이스x 관련주까지 말이다. 스페이스x의 발사체는 위성 분리까지 실패할 확률이 낮다고 생각하고, 인공위성이 BLT 궤적으로 투입까.. 2022. 5.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