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잡담/주식관련

보크사이트 가격 상승! 알루미늄 캔부터 자동차까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by 자유인 2025. 3. 21.
728x90
반응형

 

참 다양하게 생긴 보크사이트

 

 

최근 알루미늄 가격이 1년 새 20% 급등하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맥주 캔, 탄산음료 캔처럼 우리 생활 속에서 흔히 쓰이는 알루미늄 제품들의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커졌죠. 그런데 알루미늄 가격이 왜 올랐을까요? 그 핵심 원인은 바로 **보크사이트(Bauxite)**입니다.

 

보크사이트는 알루미늄을 만드는 주원료로, 이 광물이 부족해지면 자연스럽게 알루미늄 가격도 상승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보크사이트란 무엇이며, 주요 생산국과 공급 상황은 어떨까요?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보크사이트란?

보크사이트는 알루미늄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원재료입니다. 붉거나 갈색을 띠는 이 광물은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채굴되며, 알루미늄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보크사이트로 만들어지는 제품들

✅ 탄산음료 & 맥주 캔
✅ 자동차 & 항공기 부품
✅ 스마트폰 & 노트북
✅ 창문, 건축 자재, 포장재

 

즉, 보크사이트 공급이 줄어들면 캔부터 자동차, 전자제품까지 우리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제품들의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2. 보크사이트 주요 생산국과 공급 현황

보크사이트는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지만, 몇몇 나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보크사이트 주요 생산국

  • 🇬🇳 기니: 세계에서 가장 많은 보크사이트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
  • 🇦🇺 호주: 오랫동안 안정적인 공급을 해왔지만, 최근 일부 지역에서 생산이 중단됨
  • 🇧🇷 브라질: 일부 항구에서 선박 사고로 인해 보크사이트 선적이 중단됨
  • 🇨🇳 중국 & 🇮🇳 인도: 자국 내 소비가 많아 일부만 수출됨

최근 기후 변화와 물류 문제로 보크사이트 공급이 불안정해졌고, 그 결과 알루미늄 가격도 급등하고 있습니다.


3. 알루미늄 가격 상승 원인

📈 1년 새 20% 상승 (2024년 2202.5달러 → 2025년 2678달러)

알루미늄 가격이 급등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① 보크사이트 공급 차질

기니에서는 홍수로 인해 보크사이트 운송이 어려워졌고, 브라질 일부 항구에서는 선박 사고로 인해 선적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호주에서는 생산 중단까지 겹쳐 공급량이 줄어들었습니다.

② 미국의 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내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 보호를 위해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수입 알루미늄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미국은 자국에서 생산하는 알루미늄이 적어 80% 이상을 수입하는데, 캐나다, 러시아, 중국에서 수입하던 알루미늄에 관세가 붙으면서 시장 가격이 상승한 것입니다.


4. 보크사이트 부족,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맥주 & 탄산음료 캔 가격 상승
맥주 캔의 원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알루미늄 캔입니다. 가격이 오르면 음료업체들은 생산 비용 증가로 인해 제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죠.

📌 자동차 & 항공기 가격 상승
자동차, 항공기에도 알루미늄이 많이 사용되는데, 원자재 가격 상승이 결국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 스마트폰 & 노트북 가격 인상 가능성
전자제품에도 알루미늄이 중요한 소재로 쓰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가격이 인상될 가능성이 큽니다.

📌 주택 건축 자재 & 가전제품 가격 상승
창문, 문, 주방 가전 등에서도 알루미늄이 사용되므로, 전반적인 생활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앞으로의 전망과 대책

🔮 보크사이트 공급 부족 지속 가능성
홍수, 사고, 생산 중단 등으로 인해 보크사이트 공급이 단기간에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가격 상승세가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큽니다.

🔄 대체재 개발 증가
알루미늄 가격이 계속 오르면, 기업들은 스테인리스, 플라스틱, 종이 등 다른 재료로 대체하려는 시도를 할 것입니다. 이미 일부 음료업체들은 종이 패키지를 도입하기 시작했죠.

📉 일부 기업들의 비용 부담 증가
맥주, 탄산음료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자동차, 가전업체들도 원자재 가격 부담이 커질 것입니다. 소비자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


6. 결론: 보크사이트,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보크사이트는 알루미늄을 만드는 핵심 원료이며, 공급이 줄어들면 알루미늄 가격이 상승한다.
✅ 미국의 알루미늄 관세 25% 부과와 기니·브라질·호주의 공급 차질로 인해 최근 가격이 급등했다.
✅ 맥주 캔, 자동차, 스마트폰,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제품의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
✅ 기업들은 대체재 개발을 고려할 것이며, 보크사이트 주요 생산국의 경제적 이익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보크사이트 가격 상승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알면, 앞으로 어떤 변화가 있을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유익했다면, 주변 사람들에게도 공유해 주세요! 😊

 

 

 

 

 


*관련기사

트럼프 관세 부과에…캔 재료 알루미늄 20% 급등

입력2025.03.20 17:47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2079641

 

프라이스 & t당 2678달러…1년 새 20%↑
보크사이트 생산 감소 영향도
주류업계 "원가 부담 커졌다"
 

탄산음료와 맥주 등의 캔을 만드는 데 쓰이는 알루미늄 가격이 상승세다. 올 들어서만 5% 이상, 최근 1년 새 20% 올랐다. 알루미늄의 주원료인 보크사이트 공급이 불안정해진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에 수입되는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20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전날 런던금속거래소(LME) 기준 알루미늄값은 t당 2678달러였다. 1년 전(2202.5달러)과 올해 초(2536달러)에 비해 각각 21.5%, 5.6% 올랐다.

알루미늄값은 지난 12일 t당 2737달러까지 오르며 2022년 5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 경쟁력을 높이겠다며 철강·알루미늄 등에 관세 25%를 부과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미국은 자체 알루미늄 생산량이 적어 80% 이상을 캐나다, 러시아, 중국 등에서 수입하고 있다. 원자재 시장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예견되면서 실제로 세금이 붙기 전부터 사전에 물량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늘었다”고 말했다.

알루미늄값 강세는 주원료인 보크사이트 생산량이 감소한 영향도 크다. 지난해 보크사이트 주요 생산국인 기니와 브라질에서 공급 차질을 빚었고 호주에서는 생산이 중단됐다. 기니는 홍수로 보크사이트 운송에 타격을 입었고, 브라질 일부 항구에선 선박 좌초로 보크사이트 선적이 중단됐다. 미국 알루미늄 생산업체 알코아는 연간 291만t을 생산할 수 있는 호주 퀴나나 정제소를 지난해 2분기에 폐쇄하기도 했다.

아시아의 주요 알루미늄 수입국인 일본에서의 프리미엄 상승도 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본이 분기별로 LME 현물 가격을 기준으로 책정하는 프리미엄은 아시아 지역의 기준이 된다. 일본은 1~3월물에 t당 228달러의 프리미엄을 지급하기로 했는데 이는 직전 분기(175달러)에 비해 30% 상승한 금액이다.

 

알루미늄으로 캔을 만드는 식품·주류업계는 원자재 가격 인상을 우려하고 있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맥주 제조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캔(알루미늄) 가격”이라며 “원재료값 인상에 고환율까지 더해져 원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