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이 7% 중반을 넘어 연말 8%대를 바라보고 있다. 내년 상반기에는 9%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차주들의 이자 상환 부담이 배 가까이 불어날 전망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시중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4일 기준 연 5.16∼7.65%, 고정금리는 5.35∼7.37%로 나타났다. 전세자금대출과 함께 하단이 5%, 상단이 7%를 훌쩍 넘어섰다. 신용대출 금리는 6.10∼7.55%에 이른다.
이는 은행별 내부등급에서 상위 1~3등급인 고객에게 적용되는 금리 수준이다. 중저신용 차주들의 경우 10%대 금리가 이미 현실로 다가왔다.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지난해 말 3.71∼5.07%에서 올해 들어서만 2.5%포인트 넘게 급등했다. 이에 대출 차주들의 매달 원리금 상환 부담은 갈수록 불어나는 형국이다.
주담대 4억원을 30년 만기의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으로 갚을 경우 금리 4% 때 매달 내는 돈은 191만원이다. 같은 조건에서 적용 금리가 6.5%로 2.5% 오르면 매월 갚는 액수는 253만원으로 62만원 더 붙는다.
금리 8%가 되면 월 294만원으로 100만원 넘게 불어난다. 이자율 9%에서는 322만원, 10%에서는 351만원까지 치솟는다.
변동형 주담대에 신용대출을 보태 집을 산 차주들은 실질적인 부담이 1.5배가량 늘었다고 하소연한다. 연말을 넘어 내년 상반기에도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이들의 부담은 2배 가까이 가중될 전망이다. 주담대 변동금리의 지표가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9월 신규 취급액 기준 3.40%로 한 달 새 0.44%포인트 더 뛰었다.
대출자 사이에서는 이미 월 소득의 절반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쓰고 있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계속해서 불어나는 이자를 더 이상 감당하지 못하고 이른바 '영끌'로 산 집을 팔게 됐다는 사연도 속출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3만1000원이다.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추산한 주담대 금리가 7%일 때 서울의 전용 84㎡ 아파트의 월 상환액은 291만원이다. 매월 소득의 60% 이상을 대출 상환에 써야 하는 셈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3.0~3.25%%에서 3.75~4.0%로 0.75%포인트 인상했다.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이 지속되며 9월에도 미 소비자물가지수(CPI)가 8.2%에 달하자 기준금리를 한번에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4회 연속 강행한 것이다. 미 기준금리가 4%대에 진입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1월 이후 14년 만이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1.0%포인트로 확대됐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연준이 내년 상반기 기준금리 정점을 5~6% 수준까지 높일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한은이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인 오는 24일 기준금리를 현재 3%에서 3.25%나 3.5%로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 이후 연준의 인상폭을 반영해 내년 상반기 4%대 수준까지 높일 수 있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이 경우 시장금리가 따라 오르면서 은행 대출을 받은 차주들의 부담은 계속 불어나게 된다. 기준금리와의 스프레드(금리차)를 감안하면 내년 상반기에는 대출금리 상단이 9~10%대에 다다를 전망이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이거 참, 킹 받네요.
제가 작년에 주담보 최초 2.4%로 4억 넘게 빌렸는데
2년만에 9프로대??
단순히 주담대 4억으로 치고
9프로 연금리 때려보면
1년에 이자상환금액만 3600만원입니다.
1달에 300만원이상 이자만 내야하고 원금상환은 덤입니다.
중소기업 사무직이고
회사대출까지 있는 상황이라 실수령 월급은 300이 안되는데,
애들은 셋 입니다.
애들이 어려서 아직은 외벌이라 노답이네요.
지금도 빠듯한데 주담보 9프로는
상상이 안가네요. ㅠㅠ
작년초에 2프로대 빌릴때만해도,
9프로 금리는 제 인지를 벗어난 수치였습니다.
당연히 금리 밴드 Range가 있기때문에
하단선에 해당될경우 5~6프로대로 더 낮아질수도 있는데요.
그래도 최악의 경우를 예상하고 대비해야할것 같습니다.
내년에 받을수 있는 배당금과
예상되는 인센티브,
그리고 가용현금을 다 따져보고
알부 상환시 얼마정도 부담이 줄어들수 있는지
시뮬레이션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그동안
현금흐름을 커버하기 위한
부업이나 투잡등도 다 찾아봤지만
장기적으로 봤을때
주식 트레이딩만한게 없긴 했습니다.
하지만, 트레이딩이라는게 손실을 피할수가 없기때문에 리스크가 있고 확률에 따른 대응에 대한 부분이 커서 직딩 입장에서는 쉽지가 않습니다.
어떻게든 가장으로서 먹여살려야하기 때문에,
무엇이든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야 할것 같습니다
대리운전과 같이 몸을 혹사해야하는 부분은
최후의 수단으로 생각해야할것 같습니다.
괴거의 사례를 뒤집어서 생각해보면
2010년대 초반대였나요?
그때도 하우스푸어라는 유행어가 떠돌아다니곤 했습니다. 그 당시 어떻게든 버티지 못하고 저가로 매도해버린 사람들은 그 시간이 지나고 난후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여유가 생겨서 바로 다시 집을 사신분은 별로 없으셨을것 같고요.
아마, 후회를 많이 하셨지 않았을까 생각이 듭니다.
제가 저에게 하고 싶은 생각은
주식뿐만 아니라..
부동산도
존버입니다 ㅠ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하락으로 금리를 베이비스텝으로 올릴 가능성 높아짐 (0) | 2022.11.15 |
---|---|
무함마드 빈살만 재산 2800조, 롯데호텔 400실 통째 예약 (0) | 2022.11.11 |
웹3.0 시대에 유망한 직종은 크리에이터 (메타버스 창작자) (0) | 2022.11.04 |
새 마스크 뜯을 때 냄새나는 이유 (0) | 2022.11.02 |
플라즈맵, 코스닥 상장기업 도전 (저온 플라즈마 활용 의료소재 멸균기술) (0) | 2022.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