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를 대표하는 종목 100개를 모아둔 XU100 지수.
인베스팅닷컴 차트에서 기간을 최대로 조회해 보면...ㄸ
무려 +11,008,755.56% 나 상승했다.
그리고, 부동산도 10배 넘게 상승했는데,
그럼 터키 사람들 모두가 대박난게 아닌가? 싶지만,
폭삭 망했수다...라고 한다.
도대체 터키에 무슨 일이 일어난걸까??
터키정부는 그동안 돈을 너무나 많이 풀었다고 한다.
금리도 엄청내리고 말이다...
그래서 부동산은 폭등하고, 주가지수도 폭등했지만,
그 폭등한 가격을 기준으로....
달러예금을 해둔 사람들은 2.5배를 더 벌었다고 한다..
그러니, 터키사람들은....가만히 앉아있다보니, 벼락거지가 된것이다.
터키 화폐 자체가 완전 휴지조각이 되어 버린것이니,
터키 내부에서만 빈부격차를 느끼면 되는거라,
그나마 다행인걸까?
글로벌적으로 보면, 벼락거지가 아니라, 벼락거지국가가 되어 버린것이다.
이렇게 기축통화국도 아닌데,
겁도 없이 화폐를 마구마구 발행해 버리면,
그 후속타는, 벼락거지국가가 되어 버린다.
만약에 부동산이나, 주식에라도 투자하지 않았다면,
그 여파는 상상만 해도, 두려울 지경이다.
오죽했으면, 출산율이 높은 무슬림 국가중에서도,
터키의 출산율은 꼴등에 가깝고, 급속도로 떨어지고 있다.
그러고 보면 부동산 가격상승과 출산율과는 정비례의 관계에 있는 것이 맞다.
30조원의 가치
30조 원으로 할 수 있는 다른 일들은?
- 월드컵 경기장 10개 건설
- 최신형 돔 구장 6개 건설
- 서울숲 같은 사업 10개 진행
- 올림픽 6번 유치
- 청계천 같은 도심 사업 7개 진행
- 대기업 하나 설립
- 롯데타워 같은 랜드마크 10개 건설
- B2 스텔스 폭격기 8대 구매
- 판교 디지털 센터 같은 곳 15개 설립
- 세종시 같은 도시 하나 개발
- 수도권 GTX 노선 하나 추가 건설
- 전국에 스타필드 30개 이상 건설
- 누리오 15층 높이로 개발
- 최대 규모 항공 모함 8대 건조
- 최고급 5성급 호텔 5개 건설
- 30조 원은 월드컵 경기장 10개, 최신형 돔 구장 6개, 서울숲 같은 도시 재생 사업을 각각 더 많이 건설할 수 있는 막대한 돈이다 .
- 사우디가 2030 엑스포 유치에 10조를 투자한 것과 비슷하거나, 대한민국은 6억 정도를 투자했음을 보여준다 .
- 올림픽 한 번 유치하는 비용이 5조임을 감안하면, 30조로 올림픽을 6번 할 수 있으며, 이는 나라의 큰 축제 개최가 가능하다 .
- 도심 재생 사업인 청계천 같은 프로젝트를 전국에서 7개 더 추가할 수 있으며, 이는 도시 미관과 환경 개선에 활용 가능하다 .
- 30조로 현대차, 네이버 같은 대기업 40조 시가의 기업을 하나 만들거나, 롯데타워 같은 대형 랜드마크 10개를 건설할 수 있다 .
- 군사력 강화를 위해 8대의 스텔스 폭격기를 구매하거나, 최대 20만 개의 비트코인도 살 수 있는 규모이다 .
- 판교 디지털 센터 15개, 세종시 개발 등 대규모 도시 개발이 가능하며, 수도권 GTX AB 노선 1개를 더 건설할 수 있는 돈이다 .
- 전국에 30개 이상의 스타필드 건립, 누리호 개발비의 7배인 30조로 15층 높이 누리호를 여러 개 만들거나, 최대 8척의 항공모함을 건조할 수 있다 .
- 최고급 5성급 호텔 5개와 경기도 10년치 예상 인구 유입을 맞먹는 규모로 투자 가능하며, 이러한 숫자로 뉴스에 나온 조 단위도 별거 아닌 것처럼 느껴진다 .
- 이처럼 30조는 국가 발전과 기술, 인프라, 기업 유치와 방위력 강화를 위한 막대한 재원임이 드러난다
우리나라도 지금 돈을 너무 많이 풀고 있다.
30조원을 푼다는게, 잘 와닿지 않을수 있어서, 인터넷에서 검색하니 위의 내용이 나온다.
그런데, 이 어마어마한 30조원이라는 돈을 집중해서 쓰지 않고,
1인당(국내거주 외국인 포함) 25만원 지원금 형태로 돈을 써버리면 어떻게 될까??
그냥 소각되어 버리는게 아닐까 생각이 든다.
한국과 미국과의 금리차도 2% VS 4%로 더블정도 나고,
앞으로 국민연금도 미국주식투자 비중을 늘릴것이고,
이제는 매달 들어오던 수출기업들의 원화환전 비중도...이제는 거의 없다.
(이제는 1400원 이상에서만 달러를 원화로 환전한다고 함)
M2 광의의 통화 기준으로 보면,
한국이 미국보다 돈이 많이 풀린 국가다.
이 상태에서 30조원을 더 풀어버리면, 정말 어떤 일이 발생하게 될까??
현재 대통령 시대에는 큰 문제가 없을수있겠지만,
그 후속 시대가....문제가 될듯하다.
6월 말부터 서울시내 교통비도, 편도 1400원에서 1550원으로 10% 넘게 오르고..
국민연금(세금)도 오르고,
이제 건보료나...기타...여러가지 것들이 모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이나,
인플레를 헷지할수 있는 자산을 사야되는데 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는데,
위 터키(튀르기에) 사례를 보니, 부동산이 정답은 아니라는 확신이 들었고,
달러 환전은 은행이나 증권사를 통해서 가능은 한데,
국가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달러를 달러로 빼쓸수가 없으니...이 부분은 문제,
이걸 단번에 해결할수 있는게, USDC, USDT와 같은 달러 스테이블코인이긴 하다.
일단 거기까지는 너무 나간것 같고,
우선 국내주식이 코스피 3100이 넘었지만, 크게 관심을 두지 말고, 미국 주식에 대한 공부를 늘려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게 10억이상 투자해 놔도, 조금 더 마음 편한 투자이지 않을까?
유튜브 링크(박종훈 기자, 박사님)
https://youtu.be/NzP3gxhrDHw?si=BUQfTTtJxO6EPvtI
https://youtu.be/qNpvr-McqIU?si=wyaQN26ZB3EiR3iv
'주식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버블은 아직 오지도 않았다 (3) | 2025.07.11 |
---|---|
PER의 기본 개념: 투자금 회수 기간 (6) | 2025.07.02 |
현재 시장은 과열국면일까?? (0) | 2025.06.22 |
블룸에너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설비, AI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난·냉각 동시 대응 '해결사' (0) | 2025.06.20 |
까딱잘못하면 벼락거지 vs 자산 점프업할 기회? (1) | 2025.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