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위한 희생과 헌신은
곧 나를 위한 것이고
그로부터 자비심이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비는 바로 나 자신을 위한 것입니다.
인간 사회가 경쟁 사회라고는 하지만
결국 거시적 범위에서는 상호 의존하고 협력하지 않고는
버틸수 없는 구조 입니다
다시 말해서 어떤 숭고하고 신성한 이유 때문이 아니라
본인의 장래가 타인들과의 연관속에서
좌우되기 때문에
현실적 필요에 의해서 타인에게 헌신하고 마음을 쓰라는 얘기입니다.
마음을 변화시키려면 명상을 해야합니다.
명상에는 사물을 통찰력을 가지고 관하는 분석명상과
마음을 한곳에 모으는 집중 명상 두가지가 있습니다.
집중명상을 통해서 마음의 에너지를 모은 후
분석 명상으로 새로운 신념이나 인식을 키운다면
모든 부정적인 것을 없앨수 있습니다.
그대가 자신의 주인이다
그대의 미래는 온전히 그대에게 달려있다.
누구도 그대의 내생을 돌봐 줄 수 없으며
현재는 그대의 어깨 위에 놓여있다.
마음 수련하는 방법
첫번째, 걷기
걷기 명상의 목적은 마음을 챙기고 집중력을 기르는 것입니다.
오로지 걷는 동작 자체에만 집중해야합니다.
잡념이 떠오르면
억지로 억누르려 하지말고 조용히 내려놓으면 됩니다.
걷기는 가장 쉽게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명상법 입니다.
둘째, 호흡.
걱정이 있거나 스트레스를 받았을때
심호흡을 하면 마음이 차분해지죠.
숨쉬기 역시 간단하면서 효과적인 명상법입니다.
셋째, 좌선.
좌선은 부정적인 감정과 산만한 잡념들을 줄이고
집중력을 향상시킵니다.
하지만 걷기 명상에 비해서는 다소 여려움이 있어서
끈기 있게 연습해야 합니다.
다섯째, 집중명상
한가지 대상에 정신을 집중해 마음의 중심을 찾는 것입니다.
여섯째, 분석 명상
어떤 대상을 다각도에서 분석하고
자신이 원하는 만큼 오랫동안
그 대상에 정신을 집중하는 능력을 강화시키는 연습입니다.
일곱째, 심상 연습.
내가 뭔가 다른 존재로 변하는 상상을 하는 겁니다.
달라이라마의 행복론
잠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살면서 가장 행복을 느꼈을때가 언제였습니까?
살면서 가장 힘들었을때가 언제였을까요?
그리고......
지금은 어떠실까요?
우리가 만족감을 갖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남과 비교하는 습관 때문입니다.
이 습관에 사로잡혀있는 한 영원히
만족을 느끼지 못할 겁니다.
누군가는 나의 삶보다 나아 보일테니까요.
그럼 이제,
다음 두가지 문장을 만들어 보실까요?
내가 ....라면 좋을텐데.
내가 ....가 아니라서 기쁘다.
자, 다 만드셨나요??
만들고 나니 기분이 어떠신가요?
어떤 문장에 기분이 더 좋아 지셨을까요?
우리는 비교하면서 실망하지 말고 현재 자신이 갖고 있는 것에
만족하며 감사를 느낀다면 행복을 찾을수 있습니다.
행복은 우리 인생의 목표가 될뿐 아니라
선택의 기준이 될수 있습니다.
살면서 선택의 순간이 왔을때,
이것이 나에게 진정한 행복을 가져다 줄것인가를
생각해 보는 과정을 가져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살면서 비교를 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비교를 통해서 자신의 수준과 위치를 정확히 알수가 있게 되는 것이죠.
어제의 나와 비교를 하 /는 것이 가장 좋겠지요.
하지만 쉽지 않은 일입니다.
성장을 위한 비교가 아니라,
우리는 관계를 맺을때
한사람 한사람 소중하게 생각하고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그런데 그 한사람을 단지 자신의 인맥과시용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죠
예컨데 나에게 돈이 많아서 접근해 온 사람은 돈이 떨어지면 떠납니다.
인간관계는
항상 서로간의 깊은 심성을 이해하는데에서 출발해야하죠.
삶에는 반드시 문제가 일어나게 되어 있다.
생명체는 모두 언젠가는 죽습니다.
이처럼 고통은 우리 삶에 항상 같이 하는 동반자 입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기쁨이나 행복한 순간보다
괴로울때가 더 많습니다.
그것은 나에게만 해당하는게 아닙니다
모든 존재가 마찬가지이죠.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리고 고통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왜 나야, 하면서 자기 연민에 빠지다 보면
결국 자기만 손해 입니다.
고통속에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한,
인간은 어떤 고통이든 기꺼이 받아 들인다.
삶에 대한 대부분의 두려움들은 우리의 생각이 만들어 낸 것들이다.
카테고리 없음
달라이라마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