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아라.

by 자유인 2022. 12. 1.
728x90
반응형

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아라.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논어 학이편의 첫번째 나오는 문구입니다.

 

이 말을 말 그대로 풀이해보면,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이또한 어찌 기쁘지 아니한가??

 

로 해석할수 있는데요,

 

여기서 해석을 잘 해야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때때로'와

'익힌다'는 뜻입니다. 

 

'때때로'를 예전에는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원칙에 따라, 

자주 복습을 한다고 생각했는데,

 

또는 배움에는 시기가 있다고 해석을 하기도 했는데,

 

 

이 '시(時)'라는 것이,

시대의 흐름을 잘 읽을수 있도록 배우고 익혀라는 뜻으로도 해석이 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부분

'습(習)'

 

저는 성인이 되어서 한번씩 생각을 하곤합니다. 

 

배우는게 중요할까요?

생각을 하는게 더 중요할까요??

 

2개다 중요하겠지만,

나이가 들수록 저는 2번째인 생각을 하는게 더 중요하다고 느낍니다.

 

왜냐?

 

일단 기본적으로

우리는 생각하기 위해 배웁니다. 

 

그리고 배운걸 생각을 통해서 더 잘 기억하고

응용까지 가능합니다. 

 

배운다는 것은 좋은데,

생각없이 받아드리면, 

말 그대로 무분별한 주입식이 되어 버리게 됩니다. 

 

저도 그렇게 교육을 받아왔고요.

 

한번씩 학창시절때 공부를 안하는 친구였는데,

마음먹고 시작하니 공부를 잘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쓸데없는 지식이 들어가 있지 않았다는 말이죠.

 

이런친구들은 배움이 부족했기 때문에,

그동안 혼자 생각하는 비중이 높았을 것으로 봅니다. 

 

배운것 한가지를 가지고,

요리조리 돌려보면서 생각하는 시간을 많이 가지게 되면서 응용력이 키워진거라 봅니다. 

 

학교를 나와보면 어떻습니까??

 

교육을 많이 받은 친구들

대부분이 성공적인 삶을 살고 있나요??

 

성공의 정의부터 다시 내려야 겠지만,

이것은 각자가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지식전달의 교육보다,

생각을 키워주는 교육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과거 학창시절 뿐만이 아닙니다. 

 

왜 이 말을 하냐면,

요즘에는 너무나 많은 정보와 기사들이 쏟아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생각하는 시간보다, 

정보를 받아들이는 시간의 비중이 현격이 높습니다. 

 

이렇게 되면, 나는 내가 바라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됩니다. 

 

다양한 정보를 받아드리는것은 좋은 일이긴한데,

쓸데없는 것도 많습니다.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다보면, 머릿속에서 자동으로 정리되며,

연결고리를 찾아서 시냅스 매듭이 지어지는 분들도 계실것입니다. 

 

그리고 머릿속에 정보가 차고 넘치는 순간이 되어야,

그것에서 파생해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른다는 분들도 계시겠지요.

 

하지만, 훈련받지 않은 보통사람들은 아닙니다.

그래서 억지로라도 생각하는 시간을 갖거나,

생각 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람들과 대화를 해야되는데,

환경은 그렇지 못하죠.

 

그래서 글이라는 것을 쓰고,

영상을 남겨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입니다. 

 

 

위 글은 전적으로 제 의견일 뿐입니다. 

참조만 해 주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